본문 바로가기
NAS 시놀(헤놀)로지

헤놀로지 SMB 멀티 채널 설정 / 오류 에러 해결방법

by GisaNim 2022. 7. 22.
반응형

해당 포스트는 SMB멀티채널이 잘 되지 않을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

 

우선 멀티채널의 기본 조건으로 같은 속도의 1Gb or 2.5Gb 유선랜카드 와 Cat.5E 이상 케이블 DSM 6 버전 이상 + 윈도우7 이상은 필수 조건입니다

순서는 상관없지만 조금 더 쉬운 길을 가기 위해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순서를 정해서 작성하였습니다.

 

1. PC에서 설정하기

PC 쪽에 2 포트, 나스 쪽 2 포트 일 경우... 총 4개의 IP를 모두 수동 설정으로 설정해야 합니다

 

우선 메인보드에 달려있는 메인 랜 포트 속성을 알아봅시다

 

이더넷 > 이더넷 옵션 변경 > 이더넷 더블 클릭 > 자세히 > IPv4 DNS 서버 주소 메모해 두기

 

 

그다음 속성 클릭 >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(TCP/IPV4) 더블클릭 > 자동에서 수동으로 변경

 

★PC 쪽에서는 1번 포트(메인) 랜카드 부분은 메모해둔 DNS 서버 주소까지 모두 입력

 

★1번 메인 포트를 제외하고 추가로 장착한 랜 포트 개수만큼 수정하기

 

기본 게이트웨이 랑 DNS 서버 주소는 비워두고 (확인)

 

IP주소는 뒷자리 끝번호만 바꾸면 됨! 다른 아이피랑 중복되지 않도록만 하면 됩니다

 

EX) 1번 랜카드 : 192.168.0./ 2번 랜카드 192.168.0.2 / 3번 랜카드 192.168.0.3

 

공유기 내부 아이피 확인하며 넣어주시면 됩니다

 

※ 사진 참조

 

요즘은 WIFI로 인해 스마트 기기 IP가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가 많습니다.

 

그러니 꼭 확인해서 비어있는 IP주소로 넣어주세요~

 

모든 설정이 끝나면 메인 LAN 포트에서 인터넷이 가능한지 확인~!

 

 

★ 파워쉘(관리자 권한)에서 다음 명령어 입력 :

 

-------------------- 복사해서 넣기 -------------------

Set-SmbClientConfiguration -EnableMultiChannel $true

PC에서 설정 끝~

2. 헤놀로지 NAS 설정 하기

 

제어판 터미널 및 SNMP -> 터미널-> SSH 서비스 활성화 사용 버튼 ★체크하기 (기본 22 포트)

제어판 정보센터 -> SMB를 제외한 모든 서비스는 사용중지... 사용 버튼 체크 해제

네트워크 ->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LAN 포트 1,2... 등등 추가 개수만큼 보이는지 확인

LAN 포트 1번 2번...... 모두 수동으로 IP 설정 < 편집> 버튼

여기서 IP 끝자리 넣어줄 때는 PC의 랜카드 IP 랑 겹치면 안 됩니다!

 

PC LAN Port 1_ ip : 192.168.0.1


PC LAN Port 2_ ip : 192.168.0.6


NAS LAN Port 1_ ip : 192.168.0.3


NAS LAN Port 2_ ip : 192.168.0.7

 

겹치지만 않으면 됨.....

 

설정이 끝나면 확인... 저장!

 

Xshell 또는 putty 접속

 

 

PuTTY에서 나스 접속 후 편집기 실행하는 명령어 입력

 

▶  NAS 관리자 아이디 패스워드로 접속 

 

명령어 복사해서 넣는 법 > 드래그 복사 후 터미널 입력창에 Shift + Ins 키

관리자 root로 변경해서 작업하기 때문에 sudo -i로 시작함

 

※ 한 줄씩 복사해서 넣어야 함 ※

 

sudo -i

sudo vim /etc/samba/smb.conf

vim 에디터에서 파일 끝부분에 입력해야 하는 내용 :

 

i 눌러서 편집 모드로 바꾼 후 아래의 workgroup=WORKGROUP 줄 끝에서 "엔터"로 한 칸 띄운 후 코드 넣기

server multi channel support=yes

aio read size=1

aio write size=1

 

복사가 끝나면 ESC 누르고  :wq 입력

 

터미널 종료 하기 > 프로그램 닫기 > 나스에 처음 설정한 터미널 SSH 서비스 (22 포트)를 체크 해제 저장 >  터미널을 닫아줍니다.

 

나스 리부팅

 

 

나스 재부팅 후 > 제어판 → 파일 서비스 → SMB → 고급설정 → 최대 SMB(SMB3로 변경) 최소 SMB (SMB2로 변경)

 

 

적용이 끝나면 SMB 서비스 활성화 체크를 풀고 저장한 뒤 다시 체크를 하고 저장.

 

윈도우에서 공유폴더 설정하기

 

모든 설정 끝 ~~ 설정 후 확인 사항

 

SMB 멀티채널 켜져 있는지 확인방법

 

윈도우PC 파워쉘과 NAS에서 확인

 

윈도우에서 확인 (파워쉘 명령어)

 

Get-NetAdapter

Get-SmbClientConfiguration | Select EnableMultichannel

Get-SmbConnection

Get-SmbMultichannelConnection

 

끝.

 

테스트 하기...

 

싱글 채널 평균 속도 /// 우측 멀티채널 평균 속도

 

싱글 채널은 최대 속도에 도달했지만... 멀티채널은 150MB 언저리에서

 

"병목현상"으로 HDD 쓰기 속도가 못 따라가는 것이었습니다...

 

즉.... 싱글 채널은 요로결석에 걸린 것처럼...

 

아무리 HDD 디스크에 싸대도 그 양이 적은 것이고...

 

소팔메토(SSD)를 권장해서 측정을 해 보니...

 

비유가 맞나?ㅋㅋㅋ

 

SSD 측정 결과는!!~~~~~ 짠~~~

 

 

훗,... 완벽했어....ㅋ 아무리 싸대도... SSD의 쓰기 속도 영역은 여유롭습니다. 결과... 44% 의 속도로 절반도 쓰지 않았습니다.


4명이서 동시에 싸야 SSD를 엉망진창으로 만들 수 있을 겁니다...ㅋ

 

즉... SSD 기준 최고치 속도를 내려면 2.5Gb 랜카드를 멀티채널로 구성할 경우 SSD의 오르 xx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.


그렇다고 설마... 1Gb를 4개로 물리는 어리석을 짓은 하지 말자고요~괜히 포트 낭비하는 겁니다!~~

 

★ 헤놀로지 나스 쪽에 혹시라도 USB 랜카드로 멀티채널 구성하고 랜 설정을 다시 바꿨을 경우 꼭 알아둬야 하는 게 있습니다

 

예제 1 ) 가끔 USB 3.0 포트 중에서 랜카드가 잡혔다 다시 안 잡히는 경우도 있으며...


예제 2 ) 멀티로 잡혔고 NAS에서 확인해 보니 속도는 같이 올라가는데 80Mb(메가)로 고정돼서 전송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 USB 포트를 변경해서 확인하면 됩니다.

그 외 다른 경우로 안 되는 경우... 좀 더 검색을.... 흠... 흠... 사실 필자는.... 이거 때문에 ㄱㄱㅅ했습니다.. ㅜㅜ

 

ps ) 자동으로 ip를 설정해도 SMB멀티채널이 가능은 하지만 사용 중 간혹 간헐적인 끊김이 발생하는 걸 확인했습니다. 맘 편하게 그냥 고정 IP로 사용하길 권장드립니다.

 

반응형

댓글